스케일 업/다운
먼저 가상머신에 연결해 보자.

이전에 했던 가상머신 접속과 동일한 절차로 진행이 된다. 윈도우이니 RDP연결->다운로드->아이디/비밀번호의 절차로 접속을 해주면 된다.

이때 가상머신 상에서 Server Manager에 들어가면 우리가 처음에 설정했던 값 그대로 CPU는 2코어에 8GB램이 설정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을 바꿔보자

가상머신에서 크기로 들어가면 CPU, RAM, 데이터 디스크 등등의 모습이 보이는데 여기서 우리는 2코어 8GB에서 4코어 16GB로 바꿔줄 것이다. 이를 선택하고 크기 조정을 눌러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가상머신이 재부팅이 된다.

여기서 봤을 때 크기를 살펴보면 4코어에 16GB램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되면 비용은 이전보다 많이 든다.
이번에 한 것은 스케일 업을 해준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성능을 낮췄다면 스케일 다운으로 보면 될 것이다.
스케일 인/아웃

이번엔 모든서비스->컴퓨팅-> VMSS(가상 머신 확장 집합)에 들어가서 만들기를 눌러준다.

리소스그룹 이름과 계정 이름, 암호 등등을 설정해 준다. 만들기 전에

네트워킹에 들어가서

이번엔 부하분산 장치 사용을 체크해 부하분산 서비스인 로드밸런스를 같이 생성해보도록 할 것이다.

다음은 확장중에 들어간다. 초기 인스턴스 수는 처음에 가상머신이 만들어지는 개수이다. 지금은 2이므로 2개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밑으로 내리면

크기 조정 정책에 수동이라고 체크된 것을 사용자 지정으로 체크해 주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된다.스케일 아웃하고 인에서 지금 보면 씨피유 인계 값이라고 된게 있는데, 버추얼머신 스케일 셋으로 브이엠들을 사용할 건데, 이 브이엠들이 씨피유 사용량의 75% 이상으로 십분 정도 동안유지가 되는 것이 확인 되면 개수를 한 개씩 늘려준다. 마찬가지로 25%이하인 상태가 되면 1개 감소해준다.
하지만 지금 환경에서는 사용자 지정이 아닌 수동으로 체크하여 만들어 볼 것이다. 이제 만들기를 눌러보면

이렇게 가상 머신 확장 집합이 만들어 진 것을 볼 수 있다.
가상머신에서는 상단에 '연결'이라 나오지만 가상 머신 확장 집합에서는 이동이라고 나온다.
VMSS는 가상 머신을 세트로 만들어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2개를 만들었지만, 나중에 100개를 만들었을 때 다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스턴스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 들어가보자.

가상 머신 2개를 만든다고 했기 때문에 2개가 생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0번을 선택해 보자.

그럼 원래 가상머신을 만들었을 때 처럼 '연결'이라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내부 IP주소는 각각 다른 것 또한 확인 가능하다.

이번엔 다시 돌아와서 확장 중을 눌러보자.
아까 수동으로 크기 조정하는 것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인스턴스 수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을 누르면 여러가지 규칙을 정할 수 있다. 규칙 추가를 눌러보자.

CPU, 디스크, 인바운드 플로어 등등 다양한 설정값들이 있다.
여기서 Network in total을 누르면 트래픽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70바이트 이상의 트래픽을 10분동안 언제언제 감지를 하겠다라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밑에는 이로 인한 Action을 설정할 수 있다.

Action은 작업을 설정해주고 휴지기간이 있는데, 이는 5분마다 설정한 인스턴스 수를 조건에 부합하면 작업을 진행하겠다라는 소리이다.(가상머신 개수를 늘리겠다)

그냥 수동으로 가상머신의 개수를 늘리고 싶으면 수동 크기 조정에서 원하는 값을 조정한 다음 저장을 누르면
그만큼의 가상머신이 만들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컨테이너
이번에 컨테이너를 만들어 보자.

모든서비스에서 컴퓨팅에 들어가 Container Instances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는 설정이 나온다.
리소스그룹 이름을 설정하고 모든 것을 일단 기본값으로 만들어보자.

만들어진 곳에서 IP주소를 복사해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이 엔진엑스 사이트가 바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클라우드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4주차 2. Azure 네트워크 서비스 시연 (0) | 2023.05.26 |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4주차 1. Azure 네크워크 서비스 (1) | 2023.05.26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3주차 1. Azure 컴퓨팅 서비스 (0) | 2023.05.06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2주차 2. 가용성 및 구독 (0) | 2023.05.02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2주차 1. Azure 데이터 센터와 가용성, Azure Resource Manager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