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s

  • 홈
  • 태그
  • 방명록

PIM(Processing in memory) 1

PIM(Processing-in-Memory의 배경

1. PIM이 등장한 배경: Von-Neumann의 한계컴퓨터를 생각하면 Von-Neumann 아키텍처가 떠오른다. 이 구조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연산 유닛에서 처리한다. 결과를 I/O 장치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수십 년간 효율적이었던 모델이다. 현대 컴퓨터 아키텍처의 기본 틀이 됐다.하지만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문제가 생겼다. 데이터 이동이 시간과 에너지를 많이 소모한다. 메모리 집약적인 작업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마지막 레벨 캐시 미스가 잦은 경우가 그렇다. DRAM에서 연산 유닛으로 데이터를 옮기는 비용이 크다. 논문에 따르면 이 에너지는 연산보다 100배 더 소모된다. DRAM 모듈은 연산 유닛보다 낮은 주파수로 작동한다. 애플리케이션마다 메모리 요구와 접근 패턴이 다르다.PIM은 데..

PIM(Processing in memory) 2025.03.24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운's

  • 분류 전체보기 (87)
    • DFT(Design for Testability) (10)
    • AI System Semiconductor (38)
    • PIM(Processing in memory) (1)
    • 클라우드 (9)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7)
      • 클라우드 Application Developer (2)
    • Back-end (13)
    • cs (0)
    • TAVE (0)

Tag

서버, 서블릿, 자바, Java, azure, 스케일 다운, 백엔드, 스프링, Spring, chlib, 장애도메인, 업데이트 도메인, 클라우드, 빈 스코프, 스케일 아웃, iaas, 빈 생명주기, MVC, VPN, 스케일 인,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9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