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1주차 1. 클라우드 컴퓨팅

-운- 2023. 4. 23. 14:30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구성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가 포함된 공유 풀에 필요할 때 엑세스할 수 있는 모델
  • 최소한의 관리 작업이나 서비스 공급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빠르게 프로비젼 및 릴리스 가능

 

클라우드 모델 종류

 퍼블릭 클라우드란 aws, Google, NAVER, kt 등 여러 가지 회사들이 직접 데이터센터를 준비해 놓고, 그 데이터 센터에 만들어 놓은 서비스에 공용 인터넷,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환경을 통해서 접근을 하고, 거기에서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때 Microsoft에서 제공해주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Azure라고 보면 된다.

 

 

 

  1.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말 그대로 격리된 환경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직접 구성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을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직접 회사 환경 내부에 또는 임대 해서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에 솔루션들을 구성해 놓고, 거기에 내부망을 통해서 내부망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하는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을 점목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이와 연계하여 회사 내부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1. IaaS 
  2.  IaaS는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IaaS의 고객들은 서버와 스토리지를 접근할 수 있지만 사실상 클라우드에 있는 가상 데이터 센터를 통해 리소스를 전달받는 형태이다. IaaS는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제공받던 물리적인 자산을 완벽하게 가상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 사양의 변경 등 물리적 자산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IaaS의 제공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들을 관리해야 한다.
  3. PaaS 
  4.  PaaS는 고객에게 OS, 미들웨어, 런타임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한 플랫폼을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이 가상화된 플랫폼은 웹을 통해 제공되며 개발자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저장소 또는 인프라에 대한 관리없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PaaS를 사용하면 기업에서는 특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PaaS에 내장된 응용 프로스램을 설계하고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미들웨어는 특정 클라우드 특성을 채택할 때 확장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다.
  5. SaaS 
  6.  SaaS는 고객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한다. 패키지 또는 On-premise 방식인 기존의 소프트웨어 전달 방식과 다르게 SaaS는 개별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필요가 없다. SaaS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데이터, 미들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와 같은 모든 잠재적인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은 유지 보수 및 자원을 간소화하면서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다.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