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s

  • 홈
  • 태그
  • 방명록

구독 1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2주차 1. Azure 데이터 센터와 가용성, Azure Resource Manager

가용성 집합이란? 가상머신을 생성했을 때 보통 이중화라고 하는 거는 VM을 두 대 만들고, 부하분산 서비스를 같이 연계해서 한대의 브이엠이 꺼지더라도 그대로 서비스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가용성 집합은 물리적인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는 장애까지도 같이 고려를 해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우리가 실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는 문제가 없는 형태로 동작을 시킬려고 하는 그런 목적을 가지고 있는 기능이다. 내부적으로 보면 하드웨어 랙과 서버에 가상머신이 너무많이 중첩되어 들어가지 않고 겹치지않도록 분산 배포하는 기술이다. 여기에서는 랙과 서버라 말하지 않고 장애 도메인(랙), 업데이트 도메인(서버)라고 칭한다. 영문 표기는 Fault Domain과 Update Domain이므로 줄여서 FD와 UD로 표기하는 ..

클라우드/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2023.04.23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운's

  • 분류 전체보기 (85)
    • DFT(Design for Testability) (10)
    • AI System Semiconductor (38)
    • PIM(Processing in memory) (1)
    • 클라우드 (9)
      •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7)
      • 클라우드 Application Developer (2)
    • Back-end (13)
    • cs (0)
    • TAVE (0)

Tag

스프링, 클라우드, 빈 생명주기, 장애도메인, Java, 스케일 아웃, 스케일 인, azure, VPN, 업데이트 도메인, 서버, 백엔드, 스케일 다운, Spring, 빈 스코프, MVC, 서블릿, iaas, 자바, chlib,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