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8.1. 유선통신 개요

-운- 2025. 1. 9. 13:23

유선통신

  • 반도체 칩과 칩 사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PCB, 케이블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전기신호를 송수신

채널(Channel)

  • 데이터의 전송 경로
  • 무선 : 공기를 비롯한 다양 한 매질
  • 유선: 전선, 전송선, PCB tarce 등 도체 또는 광섬유

데이터 신호의 형태

  • RZ(Return-to-Zero): 1개의 데이터를 보낼 때 0을 추가로 함께 보냄
  • NRZ(Non-Return-to-Zero):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만 보냄
  •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 송신하고자 하는 2비트 이상의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변조함(PAM4이면 4가지 level을 쓰는 것)

  •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 비교 
    • f(RZ) > f(NRZ) > f(PAM)
  • 전송에 필요한 전력 소모 비교
    • P(RZ)>P(NRZ)
    • PAM과 NRZ 간 비교는 데이터 속도에 따라 다름

 

데이터 신호의 전송 방식

싱글 엔드 신호 방식(Single-ended signaling)

  • 데이터 1비트 전송 시, 하나의 전송선 사용
  • 수신기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1 또는 0을 판단
  • 장점: 입출력 핀의 감소-> 사용 면적 감소-> 생산비용 감소
  • 단점: 수신기 이득 상대적으로 낮음. 공통모드 노이즈에 취약
  • 현재는 싱글엔드 신호 방식을 많이 씀.

차동 모드 신호 방식(Differential-mode signaling)

  • 데이터 1비트 전송 시, 두개의 전송선 사용하여 전송
  • 위상차이가 180도인 두 개의 차동신호를 전송
  • 수신기는 차동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1 또는 0을 판단
  • 장점: 수신기 이득이 높음. 공통모드 노이즈에 강함
  • 단점: 입출력 핀의 증가로 인해 생산비용 증가

 

클록 신호의 전송방식

클록 내장형 신호 방식(Clock embeded signaling)

  • 송신기가 데이터만 전송하고 수신기는 데이터로부터 클록 정보를 추출하고 복원하여 사용
  • 장점: 클록 전송에 필요한 송신기 면적, 전력 사용 없음
  • 단점: 복원된 클록 주파수 유지를 위해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함.

 

소스 동기화 신호 방식(Source synchronous siganaling)

  • 송신기가 서로 동기화된 데이터와 클록을 동시에 전송
  • 수신기는 수신된 클록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
  • 장점: 데이터와 클록 간 동기화 되어있어 복원 불필요
  • 단점: 샘플링 마진이 패키지, 칩 내부의 전송경로 길이에 취약